본문 바로가기
호주 스토리

호주 영주권 혜택 4년 후 총정리

by 헤이애들 2023. 8. 16.

호주 영주권을 받으면 받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해서 1년후, 2년 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렇게 알아본 이유는 호주 정부가 영주권자 들에게 2019년 이전에는 혜택을 한번에 줬지만 이제는 영주권 혜택을 사실상 단계별로 줄이는 것 같습니다. 조사해보면서 느끼는 건데 한국 복지가 많이 좋아졌다고 느끼는 요즘입니다. 

 

 

 

 

 

 

 

 

 

 

아, 그리고 영주권 받으면 호주에서 지원해주는 무료 영어 클래스가 있다는 사실 아셨나요? 잊지말고 꼭 신청하세요! 

 

 

 

 

 

이번에는 영주권 받고 나서 4년 후 혜택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호주 영주권 받고 4년 후 혜택 

 

 

역시 호주 영주권 받고 4년 후라 그런지 이제 호주 시민권자만 할 수 있는 걸 빼고는 복지가 거의 비슷합니다. 

호주 시민권자와 영주권자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의 다른 점은 이 전에 포스팅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Austudy 자격 조건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지원해주는 보조금입니다. 25살 이상의 풀타임으로 학교를 다니면 받을 수 있습니다. 싱글에 아이가 없으면 2주에 $562.80을 받고 싱글인데 아이가 있으면 $720.40을 받습니다. 

 

아이가 없는 커플은 주에 $562.80, 아이가 있는 커플은 $612.60을 받을 수 있네요. 

 

드디어 싱글에게도 영주권 받고 4년 후 공부를 한다는 전제하에 혜택이 주어지긴 하는 것 같습니다. 

 

 

 

신청방법 

 

 

 

 

 

 

2. Commonwealth Senior Health Card

 

이건 67세가 되면 CSHC (Commonwealth Senior Health Card) 시니어 건강카드를 정부에서 발급해준다고 합니다. 

혜택으로는 약국에서 약을 조금 저렴하게 살 수 있고 닥터 벅빌도 되고 전기가스 빌, 각족 수도요금 등 카운슬에서 약간의 혜택이 있다고 합니다. 이런 혜택들은 해당하는 로컬 카운슬에 가서 봐야할 것 같습니다. 

 

 

3. Child Health Care Card

16~25세 아이들에게 지급되는 헬스 케어 카드라고 합니다. 풀타임으로 학교를 다니면서 공부하는 아이들 대상이구요. 역시 약국에서 약을 조금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Farm Household Allowance

이건 농부에게 해당되는 제도입니다. 16살 이상이고 자기가 파머이거나 배우자가 파머이면 신청할 수 있고 역시 연봉도 봐야하고 조건이 까다로운 편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경제적 도움과 어떻게 농장을 운영해야하는지 트레이닝을 시켜준다고 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위 사진을 클릭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5. Jobseeker Payment

 

잡시커는 22살에서 연금을 받는 나이 사이에 일자리가 없을 때 그리고 다쳐서 일을 못하거나 공부를 못하는 경우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을 말합니다. 

 

기쁜 소식은 2023년 9월 20일부터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상향될거라고 하네요. 

 

 

 

신청자격 조건

표에서 보다시피 아주 자세하게 나눠져있습니다. 싱글, 싱글인데 아이가 없는 사람, 파트너 등등 상황에 따라서 지급하는 금액이 다르니 자신의 재정상황을 자세히 말해달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입 테스트가 끝나면 자산 테스트도 합니다. 

 

 

집이 있는 경우는 싱글은 301,750까지 자산이 있는경우 가능하고 커플인데 집이 있다 451,500불이 넘으면 불가능합니다. 만약에 집이 없다면 커플은 693,500불까지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인컴테스트, 자산 테스트까지 다 하고 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조건이 까다롭네요. 

 

 

 

잡시커를 받으려면 영주권을 받은지 4년이 지나야 하고 커플이라는 가정하에 나의 수입은 수입이 0이 되기전에는 2주에 $1,232불이여야 하고 파트너는 내가 만약 $150불을 받는다면 2,298불이어야 한다네요.

 

그러면 내가 가장주부라고 가정했을 때 남편이 1주에 인컴이 1,149불이 넘으면 안되고 집이 있다면 그 집은 451,000이 넘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집이 없으면 자산이 693,500불을 넘으면 안되고요.

 

요즘 호주에 450,000 안 넘는 집이 어딨나 싶습니다. 이건 그냥 거의 집이 없다고 봐야하거나 정말 정말 정말 외곽의 유닛에 산다면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받을 수 있는 금액

싱글일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은 2주에 693.10, 부부일때는 631.20입니다. 2주에 631.20 받는것보다는 그냥 일해서 돈을 버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적어서 놀랐습니다. 호주의 복지가 좋다는 말은 다 옛말인 것 같습니다. 

 

일도 안하고 게으른 젊은 사람들은 그냥 센터링크에서 이 돈을 받으면서 산다고도 합니다. 한국 사람들 중에서도 돗지하게 캐쉬잡으로 해서 최소 연봉만 받고 이런 센터링크에서 혜택을 받는 사람들도 종종있다고 하네요. 어딜가나 다양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신청방법

 

 

 

이 외에도 다양한 지원금이 있지만 하나하나 보니 일반인(?)에게는 그렇게 해당되는 지원금은 적은 듯 합니다. 

 

지금까지 호주 영주권을 받으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알아봤습니다. 

 

 

 

총 정리해보자면, 

 

 

 

호주 영주권 받은 후

1. 메디케어 혜택 (GP, Eye test 등등)  2. 집 사기위해 대출 가능  3. 무료 영어 클래스 참여  4. 뉴질랜드에서 일 가능

 

 

호주 영주권 받고 1년 후 

1. Family Tax Benefit Part A (자녀수당) 0-12세 : 213.36 (2주마다), 13-19세 : 277.48 (2주마다) 

 

호주 영주권 받고 2년 후 

1. Parental Leave Pay (육아휴직) 약 20주, 100일 사용가능 

하루 택스 전 176.55불, 주 882.75 지급 (맥시멈으로 받을 때) 

 

호주 영주권 받고 4년 후 

1. Austudy (공부 지원금) 아이가 없는 싱글, 커플 기준 562.80불, 아이가 있는 싱글 720.40, 아이가 있는 커플은 612.60지원 (2주기준)

2. Jobseeker Payment (잡시커) 무직일 때 혹은 아파서 공부나 일 못 할때 받는 지원금

싱글: 693.10 , 부부: 631.20불 (2주 기준) 

 

 

이정도가 현실적으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이것 말고도 제가 모르는 지원금들이 많기를 바라며(?) 호주 영주권 혜택이 엄청난 복지천국처럼 부풀어서 과대광고하는 이민 에이전시, 유학원들이 많은 것 같은데 항상 정확학 정보는 이민성 사이트에 들어가서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이 현명합니다. 

 

 

 

https://www.servicesaustralia.gov.au/newly-arrived-residents-waiting-period?context=21816 

 

Newly arrived resident's waiting period - Carer Payment - Services Australia

After you arrive in Australia, there can be a waiting period to get some of our payments and concessions. Find out if you may not have to wait this period.

www.servicesaustralia.gov.au

제 포스팅도 계속 정부에서 업데이트 될 수 있는 정보임을 말합니다. 정확한 정보는 꼭! 이민성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호주 영주권 혜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번에는 호주 영주권 따는 법, 호주 워홀 영주권, 호주 영주권 자격, 호주 영주권 취득방법에 대해서 기회가 된다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호주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무료 영어 클래스 AMEP  (0) 2023.08.15
호주 영주권 혜택 2년 후  (0) 2023.08.12
호주 영주권 혜택 1년 후  (0) 2023.08.09
호주 영주권 혜택 총정리  (0) 2023.08.03